본문 바로가기

Research

신호프로그램 선택에 의한 교통축 제어 방법 연구 #대한교통학회 제65회 학술대회 #2011.10.20-21 한국국제전시장(KINTEX) #교통운영 분야 조사된 교통량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교통상황별 신호 운영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실시간 검지데이터를 방탕으로 교통상황 판단 및 미리 설계된 신호운영프로그램에 따라 신호 운영 더보기
TFlow Fuzzy이론을 활용한 수요예측 #대한교통학회 제65회 학술대회 #2011.10.20-21 한국국제전시장(KINTEX) #교통계획 분야 4단계 수요추정방법의 신뢰도 향상을 위한 tflow fuzzy 방법론 제시 각 도로조건에 따른 신뢰성 있는 통행지체함수의 파라미터값 선정 필요 더보기
Passenger Survey 기법을 활용한 대중교통 O/D 구축방법론 #대한교통학회 제65회 학술대회 #2011.10.20-21 한국국제전시장(KINTEX) #대중교통 분야 대중교통 이용자 90% 이상이 사용하고 있는 교통카드데이터를 활용한 대중교통 O/D 구축 방법론 제시 향후 교통카드 이용자료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문제점 및 향후 연구방안 제시 더보기
(2020) Equilibrium Assignment에 기반한 자율주행차량의 Dynamic Route Guidance System 구축방안 4차산업혁명 등장과 함께 다양한 기술들이 도입되고 있으며, 이 중 자율주행차량(AV, Autonomous Vehicle)의 상용화 및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최적경로 탐색 시스템(DRGS, Dynamic Route Guidance system)을 제시하였다. 최적경로 탐색 시스템(DRGS)은 출발지/도착지(O/D) 간 주행차량이 다양한 파라미터를 고려하고 일정시간 간격으로 교통상황을 판단하여 최적경로로 안내하는 시스템이다. 시스템 내 다양한 통행배정 기법과 파라미터에 대한 알고리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며, 시스템 Test-bed 구현을 위해 교통수요/교통흐름/교통신호/대중교통/운영관리 측면의 교통정책분석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제주특별자치도 신제주를 대상으로 시스템 적용의 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향.. 더보기
(2020) 다중밀집시설의 사회적 거리 유지를 위한 Social Force Model 구축방안-한국 ITS 학회 대한민국 또한 COVID-19 대유행에 따라 전염병 경보단계를 관심, 주의, 심각 3단계로 구분하고 있으며, 2020년 2월 23일 COVID-19에 대한 대응 수준을 심각 단계로 격상하였고 이에 따라 휴교령, 집단행사금지, 통행자제, 접촉자에 대한 밀접관리 및 자가격리, 개인위생관념 개선 등 최고 수준의 방역대응을 진행하였으 며, 대한민국 정부는 사회적 거리(Social Distance) 유지 강력권고를 통해 지역 간 통행 시에 발생하는 지역사 회감염차단에 노력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COVID-19 신규 확진자 수는 크게 감소하였으나, 지역사회감 염이 진행됨에 따른 신규 확진자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어 방심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즉, 현재의 방역대책 으로는 다중밀집시설 특히 업무, 대형 쇼핑몰에.. 더보기
(2018) 대기행렬 소거시간을 고려한 회전교차로 실시간 신호미터링 운영연구 행정안전부는 교통사고 예방과 교통운영체계 선진화 방안의 일환으로 2010년부터 회전교차로 설치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으며, 일반 교차로 중에서 신호등이 없거나 상대적으로 신호대기시간이 불필요하게 길어 신 호통제 필요성이 낮은 교차로를 회전교차로로 전환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회전교차로는 전국에 1,110개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내년까지 신호등 없는 로터리 26개소를 추가적으로 회전교차로 예산에 반영해 지원할 계획이다. 일반적으로 회전교차로는 비교적 교통량(450 대/시/차선 이하)과 보행자가 적은 교차로에 설치되며, 차량과 보행자간 상충횟수가 적고 진입속도가 낮다는 이유로 비신호 교차로로 운영되고 있다. 신호교차로와는 달리 신호등 없이 원형교통섬을 회전차량 우선원칙에 따라 한 방향으로 통행하는 .. 더보기
(2018) MaaS의 다양한 공공교통수단 연계에 따른 구현방안 현재 이용자들에게 제공되는 경로안내 시스템은 개인 승용차 및 버스, 지하철의 대중교통 경로정보를 제 공하나 새로운 제 4차 산업혁명의 신개념 통합교통시스템 MaaS(Mobility as a Service)의 개념을 더한 경로안 내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경로안내 시스템에 카쉐어링 및 공공자전거의 개념을 더하여 다양한 교통수 단을 연계시킴으로써 이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는 신개념 통합교통시스템 MaaS를 도입하여 연계된 대중교통 정보에 따른 경로안내 시 이용자들에게 자가용처럼 편리하고 다양 한 대중교통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이용자들의 이용 경로 전환으로 통행시간 단축 등 다양한 교통문제를 해결에 따른 기.. 더보기
(2018) 회전교차로 감응식 신호미터링 운영 효과분석 회전교차로에서 신호체계를 운영하는 것을 신호 미터링(Signal Metering)이라 칭하며, 회전교차 로 감응식 신호미터링(Signal Metering)이란, 평상시에는 무신호 회전교차로로 운영되다가 불균 등 교통상황 발생 시 혼잡이 발생한 진입로의 좌측 접근로에 적색시간을 부여하여 혼잡이 발생한 진 입로의 교통량이 빠르게 처리될 수 있도록하는 방 법이다. 즉 회전교차로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할 경 우, 좌측 진입로의 진입교통류를 통제함으로써 회 전교통류에 적정 간격을 확보하여 우측 진입로의 교통류가 회전교차로에 원활히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회전교차로의 전 반적인 혼잡을 완화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회전교차로 본래의 기능을 최대 한 유지하면서 차량소통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더보기
(2017) 차량 및 보행자를 고려한 회전교차로 감응식 신호미터링 알고리즘 개발 최근 교통소통 및 교통안전 제고 측면에서 회전교차로 설치가 장려되고 있다. 국민안전처 주관으로 2013 년 부터 2022년까지 10개년 간 회전교차로 확대보급을 목표로, 신호통제 실효성이 낮은 교차로와 비신호 운영 으로 통행우선권이 명확하지 않아 교통안전상 문제가 발생하는 교차로를 중심으로 회전교차로 활성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회전교차로는 전국 730개소가 운영 중에 있으며 향후 세종시에서 80개소로 추가 설치 할 계획을 밝혔다. 일반적으로 회전교차로는 비교적 적은 교통량(450 대 / 시 /차선 이하)에 설치되며, 차량과 보행자간 상충횟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진입속도가 낮다는 이유로 신호등이 없는 비보호 횡단보도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출 ㆍ 퇴근 시간대 및 특정 시간대에는 교통량 및 보행량 .. 더보기
(2017) 철도 비승차 이용객을 고려한 역사 시설물별 적정규모 산정방안 국내 철도역사는 규모설계 시, 장래 지역사회 및 산업경제의 발전, 인구증감 및 유입이 고려된 전통적인 4 단계 교통수요모델을 적용하여 산출된 1일간의 철도이용객 승 ·하차 이용객수를 기반으로 한다 . 하지만, 국내 철도역사는 점차적으로 지역간 이동을 위한 단순 탑승기능을 넘어 역사 내 복합시설을 연계 하고 있는 실정으로 철도역사 내에는 열차 승 ·하차객 뿐만 아니라 비승차객의 이용이 증가되고 있다 . 비승차객은 대중교통 수단이용의 목적뿐만 아닌 역사 내 문화 및 상업시설을 목적으로 이용하거나 철도 노선으로 인해 단절된 지역을 이동하는 목적으로 유입된다 . 이에 따라, 현재 철도역사 설계를 위해서 1일간 철도역사의 승 ·하차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피크 시 1시간 이용객수를 산출하고 유입되는 비승차객 고려를 .. 더보기
(2017) 승강장 혼잡관리를 위한 역차의 정차시간 예측모형 우리나라 도시철도는 대도시들을 중심으로 최근 수십 년간 급성장 하였다. 한해에 무려 약 25억 명이 도 시철도를 이용하였다(index.go.kr, 2017). 도시철도가 이처럼 대중들에게 중요한 교통수단이 되었지만, 출퇴근 시간 동안의 과수요와 이로 인해 발생하는 혼잡은 승객들의 불편뿐만 아니라 승객들 1인당 평균 승하차시간 을 2배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Oh, 2005). 열차와 승강장의 혼잡은 출퇴근 시간대 기준으로 반복해 서 발생하는 유형과 스포츠 경기와 행사 등에 따른 이벤트성 유형으로 구분된다. 각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경 영평가 보고서(2016)에 근거하면 도시철도의 혼잡 수준은 서울 9호선 (여의도 ∼노량진) 239%, 서울 2호선 ( 사 당 ∼방배) 200%, 서울 7호선 (군자 ∼.. 더보기
(2017) 교통안전, 환경지표의 저항값을 고려한 대중교통 경로 탐색 알고리즘 개발 IT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폰 Application을 통해 모든 사람들이 최단경로로 인한 통행이 이루어지고 있으 며, 대중교통 경로정보제공 서비스로 이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있다. 그러나 기존 경로탐색 알고리즘은 Shortest-path기반의 최단시간 경로탐색에 국한되어있어, 대중교통 이용 객들의 선호에 따른 안전하고 편리한 경로 제공이 어려운 실정이다 . 따라서, 이용자의 선호 여부에 따른 최적경로 탐색을 위해 안전, 환경과 관련된 교통수단 별 Impedance를 개발하고, 이러한 Impedance를 반영한 최적경로탐색 알고리즘 도출이 필요하다. 향후 스마트폰 Application에 이용자 선호에 따른 경로탐색 알고리즘을 도입할 시 안전, 환경에 대한 경로 를 선택하여 이용자들에게 매우 유용한 정보를.. 더보기
(2017) 철도이용객데이터를 이용한 철도역사 설계시간계수 산정연구 국내 철도역사는 장래 지역사회 및 산업경제의 발전, 타 지역으로부터의 인구유입을 고려하여 국내 도로 · 철도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에 제시된 전통적인 4단계모형 기반 수요예측을 시행하고 있다. 이후, 철도역 사는 예측수요인 1일 철도이용객을 역사규모 설계 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1일 철도이용객은 1년간 다변 화되는 역사 이용객 패턴을 반영하지 못하여 철도역사의 과소 및 과대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 예를 들어, 2013년에 개통된 KTX 광주송정역은 당초 12,876여명 /일로 예측되었으나, 실제 역사 개통 후 교통수단 간의 연계, 역사 이용패턴의 변경 등의 사유로 1일 이용객은 하루 평균 약 2만명 이상으로 집계되 었다. 또한, 최근 SRT의 개통으로 일평균 6,000명 ~ 9,000명의.. 더보기
(2016) 설계시간계수 및 Simulation 기반 철도역사 이용시설 LOS 분석 사회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국내 철도역사 인프라 및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철도역사는 단순 대중교통 수단 기능 외 타 교통수단 환승, 문 화, 레져, 쇼핑 등의 공간으로 확대되어 역사별 이 용객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국내 기 구축된 철도역사는 단순열차 승· 하차 이용객 수요만을 예측하여 역사 설계 시 과다· 과소 설계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대표적 으로 KTX 광주송정역은 당초 건설기준이었던 이용 객 예측수요(4,600여명/일)를 초과하여 1년 내 12,460 여명/일(약 3배 이상)으로 증가하여 이용객 불편을 초 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 혼잡의 이유로는 다양한 목 적(환승, 단순통과, 상업시설이용 등)을 지닌 이용 객 수요가 고려되지 않아 비승차 이용객을 고려한 수요산정.. 더보기
(2015) 교통예측자료 기반 Network 차원의 신호제어 최적화 방안 국내 교통은 날로 증가하는 차량으로 인해 도로 의 상습정체 , 대기오염 발생 등의 다양한 교통문제 가 발생되고 있다 .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지자 체는 지능형교통체계(ITS :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첨단교통관리시스템(ATMS : Advanced Traffic Management Systems) 등의 시스템 구축을 통 해 교통관리를 시행하고자 했으나 인프라 중심의 교통시스템 구축만으로는 만성적인 교통문제 해결 에 효과가 미비하여 기존 시설물에 운영관리 기능 을 강화한 시스템 고도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 신호는 교차로 지체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써 , 기존의 신호운영은 고정식 신호제어 로 다양한 교통패턴을 고려하지 못하여 작은 이동 류가 긴 녹색시간을 부.. 더보기
(2015) Simulation 기반 LOS에 따른 역사 시설별 적정규모 산정 최근 역사의 기능은 단순교통수단 통행기능을 넘어 상업 및 공공 기능과 함께 교류와 문 화의 장으로 넓혀 역사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증가하는 역사 이용객의 서비스수 준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역사면적을 확대함으로써 철도역사의 적정면적을 만족시키지 못하 는 역사 과대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이용객 추정에 따른 역사설계에 대한 표준화된 기준이 부재하여 신축역사 설계 시 과대 또는 과소설계에 따른 문제로 사회 및 경제적 측면에서 국가 예산이 낭비되고 있는 실 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 Simulat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철도역사 내 보행시 설의 서비스수준에 따른 적정면적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추후 역사 설계 시 Simulation 기 반 사전 평가의 타당성 및 신뢰성을 평..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