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도시철도는 대도시들을 중심으로 최근 수십 년간 급성장 하였다. 한해에 무려 약 25억 명이 도 시철도를 이용하였다(index.go.kr, 2017). 도시철도가 이처럼 대중들에게 중요한 교통수단이 되었지만, 출퇴근 시간 동안의 과수요와 이로 인해 발생하는 혼잡은 승객들의 불편뿐만 아니라 승객들 1인당 평균 승하차시간 을 2배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Oh, 2005). 열차와 승강장의 혼잡은 출퇴근 시간대 기준으로 반복해 서 발생하는 유형과 스포츠 경기와 행사 등에 따른 이벤트성 유형으로 구분된다. 각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경 영평가 보고서(2016)에 근거하면 도시철도의 혼잡 수준은 서울 9호선 (여의도 ∼노량진) 239%, 서울 2호선 ( 사 당 ∼방배) 200%, 서울 7호선 (군자 ∼어린이 공원) 180%, 인천 1호선 (예술회관 ∼시청) 156%, 부산 1호선 (서면 ∼범례골) 125% 등으로 나타나 있다. Shon(2013)은 열차의 혼잡이 발생하는 이유로 승객이 의도적으로 특정 칸을 선호하고 있다 것을 설문조사에 근거하여 밝히고, 그 결과는 특정 열차 칸이 혼잡하다는 것을 열차 중 량자료에 근거하여 증명하였다 . 본 연구는 대도시 도시철도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철도의 혼잡을 관리하는 AFC(Automatic Fare Collection)를 이용한 미터링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수적 요소에 해당하는 열차의 실시간 승하차시간 예측에 관한 것이다. 철도의 승강장과 열차 혼잡 수준은 승하차 시간이 주원인이다(Puong, 2000). 이는 열차 운영계 획에 따라 도시철도의 정시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 승하차시간의 증가는 열차의 정차시간(Train Dwell Time) 을 증가시키고 운행의 중요한 요소인 운전시격을 늘리게 되며, 결과적으로 전체 철도시스템의 서비스 용량 이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객들의 승하차 행위와 이들이 승하차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은 계 획된 정차시간을 유지하고, 전체 시스템의 서비스 용량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기존 연구들에서도 정확한 승하차 시간의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 내에서 혼잡을 줄이고 정차시간의 지체 를 막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찾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역사 내 승객들의 효율적인 분산과 흐름을 유도하 기 위해 첫째 안내유도 사인 설치, 둘째 에스컬레이터 운영 지침 개선, 셋째 질서 안내원 증가 등의 방안 등 이 제안되었다(Daniel and Rotter, 2009; Washington Metropolitan Area Transit Authority, 2005). 하지만 이와 같 은 전략들을 효과적으로 계획하고 운용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승하차 시간의 예측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승강장 혼잡과 열차의 정차시간을 줄일 수 있는 전략들에 활용 가능한 승하차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 2장에서는 먼저 열차의 정차시간 예측을 위해 제안되었던 모형들을 고찰하도 록 한다. 제 3장에서는 승하차시간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을 확인한 후 모형화하며, 현장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여 승하차시간 예측모형을 개발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와 함께 추후 연구과제들에 대 해 논의하고자 한다 .
'Research > Pa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 차량 및 보행자를 고려한 회전교차로 감응식 신호미터링 알고리즘 개발 (0) | 2021.10.27 |
---|---|
(2017) 철도 비승차 이용객을 고려한 역사 시설물별 적정규모 산정방안 (0) | 2021.10.27 |
(2017) 교통안전, 환경지표의 저항값을 고려한 대중교통 경로 탐색 알고리즘 개발 (0) | 2021.10.27 |
(2017) 철도이용객데이터를 이용한 철도역사 설계시간계수 산정연구 (0) | 2021.10.27 |
(2016) 설계시간계수 및 Simulation 기반 철도역사 이용시설 LOS 분석 (0) | 2021.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