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제 9회 TOMMs Webinar : OSM을 활용한 동북아북한교통물류 연구 TOMMs에서 개별행태모형 및 OSM(Open Street Map)을 활용하여 구축한 '북한 교통수요예측 모형'으로 를 개최합니다. 신청을 원하시는 분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신청 부탁드립니다. - 주제: 북한 교통수요예측 모형 및 동북아북한교통물류 연구 - 내용: 1) 개별행태모형을 활용한 교통수요예측 방법론 및 구현방안 2) 동북아북한교통물류 활성화 방안 - 일정 : 2022년 05월 19일(목) 17시~18시 아래의 링크를 통해 신청하세요! 당일 오전에 줌 링크 보내드리겠습니다. https://forms.gle/EQAheiuMoDawqcw96 TOMMs Webinar 입력해주신 정보로 웨비나에 참여하실 수 있는 링크를 전달 드려요! 정확한 정보를 입력해주세요 :) intro Part. 1 - 신호 구.. 더보기
제 8회 TOMMs Webinar : IFC를 활용한 Viswalk 연계 방안 여덟번째 TOMMs Webinar는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 개념 연계 방법론 및 활용 방안입니다.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 건설 모델의 국제 표준인 데이터 교환 형식) 활용하여 Viswalk import 방법 및 건물 내 보행 NW 구축방법, 그리고 최적 동선체계 분석을 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의 동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질문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답변드리겠습니다. 더보기
제 8회 TOMMs Webinar 신청 (IFC를 활용한 Viswalk 연계 방안) TOMMs에서 IFC DB의 Building NW를 Vissim의 보행자 모듈인 Viswlak로 import하여 건물 내 최적 동선체계를 구현하는 Webinar를 개최합니다. 신청을 원하시는 분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신청 부탁드립니다. - 주제: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 개념 연계 방법론 및 활용 방안 - 내용: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 건설 모델의 국제 표준인 데이터 교환 형식) Viswalk import 방법 건물 내 보행 NW 구축방법 최적 동선체계 분석 - 일정 : 2022년 05월 12일(목) 17시~18시 아래의 링크를 통해 신청하세요! 당일 오전에 줌 링크 보내드리겠습니다. https://forms.gle/2PdvzQ9NJq.. 더보기
"한국 수도권 지나친 가분수..'교통'으로 물꼬 터야" 이선하 대한교통학회장(공주대 교수)은 지난 27일 진행한 과의 인터뷰에서 대한민국을 신체, 교통 인프라를 피에 비유하며 국토균형발전에서 교통인프라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습니다. https://news.v.daum.net/v/20220429070507220 더보기
Safety 사고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고 잠재구간을 도출하고 차량이 사고 다발 교차로에 진입 시, 차량단말기를 통한 음성경고 및 지점의 사고유형(충돌,추돌,전복 등)별 특성을 고려한 경고 제공 및 자율주행 차량 안전운전 방안 제시가 가능함 과거 사고데이터(도로교통공단) 수집 및 가공을 통해 사고위험 지점 및 구간을 분석하여 사고위험 구간의 사고 원인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도출로 광주광역시 C-ITS 실증사업을 위한 사고 잠재구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구현함 교통사고분석 시스템 구축 교통사고분석 시스템은 교통수요분석 시스템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교통사고 자료 및 장래 교통수요 기반으로 사고를 예측하며, 사고다발구간 분석을 통해 개선 우선순위를 선정 할 수 있는 시스템임 교통수요분석 네트워크 속성정보를 사고분석용 네트워크로 .. 더보기
Signal Database 신호는 교통운영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써 최근 교통류 제어 시, 신호운영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이에 대한 신호운영 및 관리방안이 이슈화되고 있음 효율적인 신호제어를 위해 Signal DB, Signal Analysis, Signal Traffic Adaptive Control, Traffic-actuated coordination 프로그램을 통해 체계적인 신호운영 및 관리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함 VERA+ VERA+는 신호기를 포함한 관련 시설 DB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프로그램으로 지자체, 교통경찰, 운영자 간 Open Communication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기반의 실시간 정보교류가 가능하도록 함 Web 기반의 이용자 편의를 고려한 인터페이스로 폭 넓은 서비스를 제공하며, 기존.. 더보기
콜롬비아 메데진 ITS 구축사업 교통분석 지원 모델은 교통전문 S/W인 VISUM-VISSIM-VISTRO에 메데진 시의 교통수요 및 교통망 DB를 구축한 시뮬레이션 모형으로서 메데진시에서 요구하는 교통 컨설팅 기능을 수행함 메데진 시의 Block 단위의 사회경제지표와 OSM 기반 교통수요를 분석하고(VISUM), 이를 미시적 교통흐름 분석(VISSIM)과 신호운영(VISTRO)으로 연계한 통합 교통 솔루션 모델을 구축함 본 사업의 핵심인 메데진 도심 교통신호 운영을 위한 교통패턴별 신호운영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영상검지기 실시간 교통 지표를 바탕으로 최적의 신호 프로그램이 교통축 차원에서 수행되고 미시적 과포화 상황에 대한 신호운영 방안 제시함 1. 교통수요분석 시스템 Open-source 기반 OSM(OpenStreetMap) 네트워.. 더보기
VISUM Publisher VISUM Publisher란? VISUM Publisher는 지자체 교통수요분석 모델 Data 기반 대중교통, 교통존, 링크 분석이 가능하며, 사용자 설정별 교통데이터를 용이하게 설정 이 가능 교통수요분석 Data의 경우 Clould 업로드를 통한 사용자 설정에 맞는 DashBoard 및 Wiget 구성 기능 교통수요분석 Data 시각화 교통수요분석 시각화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도 DashBoard 내 링크, 행정구역별 교통수요 분석 데이터를 2D/3D 형식으로 용이하게 표출이 가능 더보기
LISA+ 기존 신호 운영은 신호 설계 후 이를 사전 검증하는 체계가 미흡하여 설계 신호 도입 후 안정화되기 까지의 시간적, 경제적 비용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임 효율적인 신호설계를 위해서는 신호전문 SW를 활용한 대상지 특성별 신호체계 개선 및 사전 검증을 통한 체계적인 운영유지 시스템 구축이 필요함 기존 신호체계는.. 개선 방안으로는.. 기하구조, 방향별 교통량, Intergreen time 등 교차로별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신호 운영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 신호설계 작업 효율화를 위해 신호설계 SW를 도입하며, 최적 신호체계 대안 결정을 위한 교통지표 산출 및 실제 적용 Test의 Simulation을 시행하도록 함 Flow chart 감응식 신호는.. 교차로 방향별 교통량을 고려한 유동적 신호 조.. 더보기
신호교차로 내 우회전 통행 방안 도로교통법 27조 개정에 따라 횡단보도에 보행자가 존재하면, 횡단보도 우회전 시 보호자 보호 의무 위반에 따른 단속 대상으로 변경 보행자가 '통행하고 있을 때' 뿐만 아니라 보행자가 '통행하려고 할 때'에도 차량은 반드시 일시정지가 의무화되고 있으며, 보행자의 통행우선권을 보장하며 교통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도입 하지만, 횡단보도 상 보행자의 안전은 보장되나 도심지역 우회전 차량이 많은 경우, 우려되는 우회전 차로에 극심한 정체와 다음 신호의 진입 차량과의 상충 위험이 높아지게 됨 또한, 교차로를 통과하는 모든 차량 및 보행자는 개별적으로 준수해야할 신호등이 있어야 하나, 우회전 통행금지의 경우 우회전 차량 전용 신호등이 없이 횡단보도 보행신호등을 보고 차량통행을 운전자가 결정해야 되는 불합리한 측면이 존.. 더보기
TOMMs Patent 교통 신호기 제어 장치 TTS(통합교통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더보기
TOMMs History 2000년에 설립된 TOMMs는 여러해를 거치면서 발전하고 있습니다. 2020년 현재 AI를 기반으로한 교통문제 해결에 힘쓰고 있습니다. 더보기
TOMMs CEO 이선하  공주대학교 도시융합시스템공학과 교수 /  TOMMs CEO 교육:1979 ~ 1982   휘문고등학교 졸업1982 ~ 1986   고려대 토목공학과 졸업1987 ~ 1990   Technische Universität Berlin Dipl.-Ing. (토목공학)1996 ~ 1998   Technische Universitaet Karlsruhe,  Institut für Verkehrswesen Dr.-Ing. 주요 경력:공주대학교 교수대한교통학회 제20대 회장PIARC(세계도로협회) 한국위원장한국ITS학회 제16대 회장 더보기
VISSIM-VR 연계(주행 안전성 분석) 시장 조사기관에 따르면 2030년에는 4단계 수준의 자율주행 시스템이 자율주행산업의 성장을 이끌 것이며, 세계적으로 판매되는 자동차의 25%가 자율주행차일것으로 예측하는 등 자율주행차량 상용화를 목적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하지만 현재 자율주행차량에 관한 연구는 인프라 구축, 자율주행차량 도입 시 도로의 용량분석에만 치중되어 있으며 고속도로와 같은 연속류 구간만 고려하기 때문에 도심부 단속류에서 자율주행차량 도입에 따른 교통체계 운영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차량의 도입에 따라 교차로, 교통축 등 도심부 단속류에서 자율주행차량의 통행방식을 분석하고, 실제 운전자의 운전행태 반영을 통해 자율주행 도입 상황에서 일반차량의 주행안전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주행.. 더보기
TOMMs - AV (Autonomous Vehicle) TOMMs-AV(Autonomous Vehicle) analyze and forecast future mobility, and emissions savings. TOMMS-AV virtually test automated driving features in realistic scenarios. It analyzes mixed transport traffic conditions and forecasts in real-time. AV전용차로 효과분석 더보기
DRGS(Dynamic Route Guidance system) 현재 논의되고 있는 자율주행차량(AV, Autonomous Vehicle)은 개별 차량 차원에서 목적지까지 주변 여건을 고려하여 자동적으로 운행하며, 이를 위해 도로 교통 인프라를 구축하는데만 치중되어 있음 이는, 차량운행 과정인 Navigation-Guidance-Control 중 Guidance와 Control에 해당되나, 교통운영자 입장에서 AV 차량의 V2X 기능에 의해 구집되는 구간별 운행시간 정보를 활용하여 교통관리를 최적화하고 AV 차량을 Network 내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방안이 필요함 Network에 O/D를 통행배정하는 기법 중 Equilibrium 기법은 "통행자가 도로 전체에 대해 통행시간을 알고 있다는 전제 하에 최적경로를 운행"한다는 알고리즘에 기반하고 있으며, AV 차량은 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