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용인경전철 주민소송과 김포골드라인(일명 김포골병라인) 사례에서 보듯, 민자철도의 수익성과 혼잡 문제는 철도계의 중요한 사회·경제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TOMMs의 이번 연구는 철도수요를 단순 1일 통행량이 아닌, 시간대별 운행빈도·차량편성·수송용량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LOS(Service Level of Service) 관점에서 추정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합니다.
📌 연구 배경
- 기존 예측
- KTDB 일평균 교통량 × 첨두율 → 단순 배차간격과 편성수 산출
- 시간대별 수요변화·혼잡도 반영 부족 → 실제 혼잡/승차 실패 반영 불가 - 필요성
- 차량운행계획은 첨두시간대 노선 수요와 수송용량을 바탕으로 혼잡도(LOS) 계산
- 첨두시간대 혼잡 완화와 민자사업 수익성 개선을 동시에 고려한 반복 피드백 기반 운행계획 필요
- 시간대별 수요 예측을 바탕으로 이를 처리할 수 있는 배차간격, 차량편성, 운행시간표를 설계하고 혼잡도 분석
- 이를 위해 운행계획·수요분석·혼잡도 평가가 통합된 모델을 구축하고, 민자사업 지침 개선으로 이어질 필요
'Research >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RSA21 - 도로 작업 시 교통안전 대책 지침 (0) | 2025.03.17 |
---|---|
Autonomous Vehicle 수단분담 예측 연구 (0) | 2025.02.04 |
독일의 블랙아이스 대응방안: ADAC HALT (0) | 2025.01.16 |
다중밀집지역의 “차량 돌진 테러” 대응 방안 (0) | 2025.01.06 |
신도시 주차 문제 해소를 위한 도로망 재배치방안 연구 (0) | 2024.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