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BBER BANDING을 활용한
Trip chain 비 주요 activity 경로선택 연구
연구 목적
- 교통수요는 가구통행실태 조사자료에 의한 통행자의 activity (직장: Work, 구매: shOpping, 여가: Recreation, 업무: Private 등) 수행을 위한 Trip chain이 누적된 결과이며, 4단계 모형으로 (통행발생-통행분포-수단선택-통행배정) 구성됨.
- 이 중 통행분포 모델은 존 단위의 각 attractiveness의 크기와 거리에 비례한 중력모형에 기반하여, 출·퇴근 시 직장 및 주거 지역 인근에서 발생하는 높은 구매와 여가 통행비율을 반영하지 못함.
- Trip chain의 다양한 activity를 주요 actvity 와 비주요 actvity로 구분하여 비주요 activity가 주요activity에 엮어서(BANDING) 발생하는 것을 모델링할 필요가 있음.
|
- 본 연구는 VISUM의 Rubber Banding 기능을 통한 주요 activity인 직장, 학교, 집이 밀집한 존 인근 존의 구매와 여가 통행량 변화를 통한 비 주요 activity의 주요 activity와의 연계성을 분석함.
선행연구 고찰
• Stefan et al.,2005: 캐나다 알바타 주 캘거리의 상업용 차량 교통량은 전체의 15%에 해당하며, 상업용 수요분석 모델 구축 시, 관광 차량 통행경로의 경우 Rubber Banding에 근거하여 생성
• Basu et al., 2018: 캘리포니아를 대상으로 비 주요 통행목적(구매, 여가 등)에 대한 교통존별 용도별 사회지표(쇼핑, 여가, 학원 등)와 수단접근성을 중첩시켜 모델링한 결과, 비 주요 통행목적을 위한 통행경로 선택시 첫 주요 통행목적(업무, 귀가) 교통 존을 선택하는 것으로 분석
• Hamad et al., 2022: PTV VISUM을 활용하여, 대학 내 주요 통행목적(수업, 식사 등)에 대해 Rubber Banding 가중치를 적용하여 대학캠퍼스 교통수요 모델을 구축
Case Study
• 본 연구에서는 강릉시와 세종시를 대상으로 Rubber Banding 적용 전/후 통행배정 결과를 비교하여, 주 통행목적은 업무(Work)로 설정하고 Rubber Banding 값은 2(권장값)와 10(최대값)으로 적용함.
• 강릉시를 대상으로 Rubber Banding 가중치 2를 적용한 결과 주 통행목적인 직장(W) 인근 여가와 구매 면적이 많은 교2동 및 송정동 교통 존의 경우 구매와 여가 통행량이 소폭증가 하나, 가중치 10의 경우 크게 증가하고, 반면에 업무지역과 통행 경로 상 거리가 있는 강남동의 경우 통행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
• 세종시를 대상으로 Home-Work 경로 상의 구매 통행량을 분석한 결과, Home-Work통행경로에서 벗어난 곳에 위치한 Shop1, Shop2, Shop4는 통행량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됨.
• Rubber Banding 가중치의 값을 강릉시와 마찬가지로 최대값인 10을 주었을 때 경로선택에 있어 강력하게 적용되어, Home-Work 통행경로의 먼 거리의 통행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됨.
'Research >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 도로교통연구센터(FGSV) Manual 소개 (0) | 2023.11.07 |
---|---|
UAM Platform 구축방안 (0) | 2023.02.17 |
이태원 할로윈 참사, Crowd Management 구축방안 (0) | 2022.11.08 |
PTV VISUM Publisher를 활용한 교통데이터 Visualization (0) | 2022.07.29 |
신호교차로 내 우회전 통행 방안 (0) | 2022.04.18 |